HEPA, ULPA Filter

크린벤치(CleanBench) 필터 교체 해야하는 이유?

알파라인랩비즈니스 2021. 3. 4. 17:09

 

실험실 안전 통합관리 알파라인랩비즈니스입니다

크린벤치 또는 생물안전작업대는 실험실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라고 할 수 있는데요.

가장 중요한 장비인만큼 장비 관리에 있어서 결코 소홀할 수 없습니다.

 

크린벤치 또는 생물안전작업대의 관리 핵심은 바로 필터에 있습니다.

내부를 순환하는 모든 공기는 바로 필터를 거치기 때문에 오염이 누적되거나 손상된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바이러스, 미세먼지, 병원성 세균 등으로부터 작업자와 시료가 무방비적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Cross Contamination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험실 안전 통합관리 알파라인랩비즈니스에서 크린벤치 필터 교체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1 크린벤치(CleanBench)의 공기 순환 구조

 

크린벤치(CleanBench)

 

대부분 클린벤치, 크린벤치, 무균작업대 등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클린벤치의 사용 목적은 작업대 내 공간을 깨끗한 공기로 채우는 장치로써 작업 중 시료나 제품 등에 미세먼지,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오염되거나 오염 공기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생물안전작업대(BSC)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특징적인 차이점으로 클린벤치는 시료(샘플) 보호를 위주로 만들어진 장비라는 점입니다.

클린벤치의 구조는 공기의 흐름이 작업대 내부에서 작업자 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유해물질 취급 시 작업자 감염의 우려가 있어 고병원성 유해균이나 바이러스를 실험하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감염 우려가 없는 반도체 산업, Cell Culture 등의 작업에 적합한 장비입니다.

 

 

 

 

 

 

02 필터 교체의 이유

클린벤치에 사용되는 필터의 수명이 길다고 생각하시거나 필터 교체의 이유를 모르고 간과하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필터의 수명은 최대 약 1~2년 정도이며 필요 시 주기적으로 점검 교체 관리해야하는 소모품입니다.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필터의 상태가 부적절하다면 필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필터에 고착되어 있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병원성 세균 등으로부터 작업자가 무방비적으로 노출됩니다

또한 실험의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오염(Contamination)이 발생하는 원인이 됩니다.

 

 

 

 

 

03 필터 교체 시기

필터의 기본 수명은 약 2년 정도이며, 사용량에 따라 증감됩니다.

오염원의 유입이 많고 주변 작업 환경이 열악한 경우 장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통상 1년에 1회 씩 권장드립니다.

질병관리청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안전관리 지침에 따르면 '헤파필터는 최대 2년까지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1년에 한번 교체하는 것을 권장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장비에 문제가 없는데 컨텀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 작업대 풍속이 전과 달라진 것 같다.

▷ 차압계에 이상 징후가 보이거나 장비 사용에 이상을 느낀다.

▷ 필터 교체 후 일정 시일(최대 2년 / 권장 1년)이 경과했다.

장비를 사용하실 때 큰 이상을 느끼지 못하셔도 필터 교체 관리는 주기적으로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04 클린벤치 필터의 종류

헤파필터 HEPA Filter

헤파필터는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고효율 미립자 공기 필터의 약자이며,

미세먼지나 바이러스 등 0.3㎛ 크기 이상의 입자를 99.95~99.97% 제거하는 고성능 정화 필터를 말합니다.

의약품, 식품 생산 시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유입 공기의 청정화를 목적으로 하거나 재조합 DNA 실험 등을 하는

실험실에서 외부로 유해한 미생물이 방출되지 않도록 배출구에 필터를 설치하여 안전 유지를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울파필터 ULPA Filter

울파필터란 Ultra Low Penetration Air Filter의 약자로, 헤파필터로 거를 수 없는 0.12㎛ 크기 이상의 입자를

99.999% 제거하는 초고성능 정화 필터를 말합니다.

주로 반도체 연구실이나 생명공학 실험실의 클린룸에서 사용하며 최상의 청정도를 위해 사용하며

필터가 오염되어 공기가 재오염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의 교환 주기를 철저히 지켜야합니다.

 

 

프리필터 Pre Filter

프리필터란 1차 처리 필터로서 헤파필터, 울파필터 등의 메인필터 전처리용으로 사용되며 대기 중의 먼지, 부유물 등

인체에 해를 끼치는 10~30㎛ 미립자를 제거합니다.

 

 

05 필터 교체 시 주의사항

클린벤치 또는 생물안전작업대는 제조사, 연식, 모델마다 필터의 크기가 모두 다릅니다.

따라서 필터 교체 전 실측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요.

필터는 실측하는 과정에서 1mm의 오차도 없이 정확한 사이즈로 실측하여 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터 사이즈에 오차가 있다면 틈새 사이로 필터링 되지 않은 유해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터교체를 위해 장비를 오픈하는 과정에서 장비의 제조사, 모델마다 오픈 방법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장비의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기술력이 부족하다면 장비 오픈 과정에서 오히려 장비가 파손되는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더욱이 국산 클린벤치의 경우 제조사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필터교체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요.

알파라인랩비즈니스는 클린벤치의 제조사, 연식, 모델 불문하고 직접 필터 사이즈를 실측하여 제작한 후

26년 경력의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체계적인 필터 교체를 진행해드립니다.

06 알파라인랩비즈니스의 필터교체 통합 관리

질병관리청 생물안전 3·4등급 연구시설 검증기술서 지침에 따르면 '생물안전 연구시설 및 안전장비는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등의

관리를 수행하고 주기적으로 재검증을 수행하여야 한다.

주기적인 재검증은 1~2년 동안 1회 수행을 권장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알파라인은 이러한 점을 통합관리 해드리기 위해 심플 밸리데이션(Simple Validation)을 무상으로 진행해드립니다!​

심플밸리데이션이란, 자체 장비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IQ, OQ에 준하는 항목인 설치 환경, 기류, 풍속, 파티클 등을 검증 측정하여 결과를 레포트로 작성하여 제공해드립니다.

 

※ 밸리데이션 장비 검증에 사용하는 모든 계측기는 모두 교정하여야 하는데요!

질병관리청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안전관리 지침에 따르면 '검·교정을 받지 않은 장비는 점검 계측 장비로 인정을 받을 수 없으며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없음에 따라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유지보수, 점검에 사용할 수 없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알파라인이 밸리데이션에 사용하는 모든 측정 장비는 검교정인증을 완료하여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를 레포트로 작성하여 드리기 때문에 자체적인 장비 관리와 제출 보고서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